날짜 : 2016. 1. 21.

저자 : Eric Topol 저, 김성훈 역, 이은 감수

출판사 : 청년의사

이미지 : 예스24

정가 : 30,000원


저자가 쓴 전작은 읽어보지 못했지만, IT기술(특히 스마트폰)의 발달과 확산과 연계한 의료분야가 어떻게 바뀌어야 할 것인지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책이었다.


의사가 아닌 의료서비스를 받는 사람의 입장에서 IT와 의료가 연계되어 어떻게 바뀌어야 할 것을 생각해 보면 주로 병원 내 서비스의 융합서비스화와 이를 통한 변화를 생각하게 되는데, 저자는 의료인의 입장에서 다른 시각에서 변화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야기해 주고 있다.


환자와 가족들이 모여 직접 치료방법을 고민해 보는 PatientsLikeMe와 유전자 분석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23andMe와 같은 서비스에 대해서는 알고 있었지만, 이들이 가지는 함의와 미국의 비싼 의료비를 타개할 수 있는 변화에 대해서는 모르고 있었기에 쉽지 않은 내용이긴 했지만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의사가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서 환자에게 필요한 것만 알려주는 의료서비스를, 비용을 지불하는 사람이 (각종 검사결과자료를 포함한) 모든 서비스 내역에 대해 당연히 알아야 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그전에는 생각지 못했던 시각을 가질 수 있었고,


휴대용 초음파 스캐너가 있는데도 그보다 못한 청진기를 고집하는 의사에 대한 의문이나 피 한방울로 주사기로 피를 뽑아서 하던 혈액검사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 등 병원을 들리지 않고도 간단하게 왠만한 기초진단을 할 수 있는 기술이 발달하고 있으며, IoT와 스마트폰 기술과 연계하여 그 결과를 축적하는 것도 간단하고, 분석도 개인정보보호 등의 이슈만 넘어가고 나면 그렇게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말은 조금은 충격적이었다.


그리고, 이에 대해 회의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을 위해 임신테스트도 예전에는 병원에 와서만 가능했지만 이제는 집에서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말도 같이 있었고.


이런 책을 통해서, 의료와 IT, IoT의 융합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이라면, 먼저 이야기했던 것처럼 기존 의료장비의 스마트화가 아닌 의료서비스 전체의 근본적인 변화까지 포함하여 고민하고 좋은 답을 내놓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날짜 : 2015. 9. 11.

저자 : 김지현 저

출판사 : 미래의창

이미지 : 예스24

정가 : 14,000원


예전에 나왔던 프로슈머(생산자producer와 소비자consumer의 결합)라는 말이 연상되는 제품(product)과 서비스(service)를 결합한 제목이 재미있어 보여서 읽어 본 책이다.


새로운 조어이기에 내용이 쉽게 연상되지는 않았지만, 실제 책 내용은 요즘 디지털 융합이라 불리는 현상에 대해 오랫동안 IT 분야에 종사했던 저자의 시각을 잘 정리한 책이었다.


한동안 IT의 역할은 끝난 것이 아닌가라는 말이 있어왔지만, 순수 IT 기업으로 패러다임을 바꾼 구글이 나오고, 웹2.0과 함께 기존 산업과 IT와 새로운 아이디어가 결합한 서비스들이 나오면서 IT가 근간에 있는 삶이 바뀌는 것이 이제 시작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IT 자체도 더 발전할 여지가 있어 보이지만, 그 속도보다는 기존 산업과 결합하여 그것을 바꿔나가는/융합해가는 속도가 더 빠르지 않을까 싶다.


이러한 변화를 제품, 서비스라는 두 단어를 축으로 하는 제목과 함께 잘 정리하고 있는 책인 것 같다.


IT 강국이라 자부하는 우리나라도 이러한 변화 속에서 어떤 포지션을 갖고 미래를 대비해야 할 것인지 고민해야 할 때인 것 같다.


날짜 : 2015. 7. 31.

저자 : Chris Skinner 저, 안재균 역

출판사 : 미래의 창

이미지 : 예스24

정가 : 18,000원


최근 핀테크라는 말이 계속 나오고 있는데, 은행과 IT가 결합된다는 막연한 개념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고 어떤 형태를 핀테크라 부르는 것인지에 대해 많이 궁금해서 본 책이다.


궁금했던 것은 전체 이미지의 변화에 대한 것이었는데, 책에서는 기존 은행이 모두를 IT와 결합해서 바꾸는 것 보다는 자신의 강점을 가진 부분을 중심으로 바꾸는 것이 좋다고 하니, 책을 읽고 나서도 어떤 모습이 실제 핀테크인지 잡히지 않고 있는 것이 조금은 불편했다. 물론 이해수준이 낮아 저자가 이야기하는 바를 제대로 이해 못하고 이런 엉뚱한 소리를 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그의 말대로만 본다면 한국은 IT에 대한 수용속도가 너무 빠른 덕분에 우리는 핀테크라 생각을 않지만 우리 주변에 많은 것이 들어와 있을수도 있다 싶었다.


액티브엑스와 같은 기술이 전자상거래를 불편하게 하고 있는 동안,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는 결재방법이 많이 나왔고, 저자의 접근으로 본다면 싸이월드에서의 도토리 또한 일종의 전자화폐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피도르, 모벤, 엠페사와 같이 이전에는 들어보지 못했던 성공사례를 알 수 있게 된 것이 소중한 수확이었고, 이런 사례들의 겉모습이 아닌 깊은 이해를 가지고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는 편리하면서도 안전한 핀테크 사례가 많이 생겨났으면 한다.


그리고,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사라지는 직업에 대한 이야기도 있었는데, 핀테크가 잘 발달된다면 은행원 또한 그 범주에 포함되는 일이 생기지 않을까 싶었다.


날짜 : 2014. 10. 10.

저자 : 김중태 저

출판사 : e비즈북스

이미지 : 예스24

정가 : 22,000원


나름 초기부터 인터넷을 써왔다고 생각은 했지만, 인터넷, IT, 컴퓨터 전반에 대해 어떤 일이 있었는지 정리한다고 생각하면 쉽지 않을 것 같다고 생각을 했었다.


특히, PC통신 시절도 아닌 인터넷을 쓰기 시작한 이후에 나온 홈페이지만 해도 우리나라에서 보관하는 곳은 정확히 모르겠고 archive.org라는 외국 사이트를 가야 볼 수 있는 것만 봐도,


우리나라 사이트는 최신성은 앞서 나가는 것이 맞지만 옛날 모습에 대해서는 아쉬움이 많이 남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나름 이 분야에 대해서는 보고 들은 것이 많다고 생각했지만, 책을 읽으면서 펀치카드나 그 이전 시절에 있었던 파콤, 성기수 박사, 이만영 박사 등은 처음 들어보는 생소한 말이었고, 이름만 들어봤던 CDC, CDK, 유니백, 공병우 박사 등과 초기 컴퓨터 발전과 연계를 전혀 못해봤던 KIST, 한국생산성본부, KCC정보통신의 역할 등 모르고 있던 내용이 많아 재미있게 볼 수 있었다.


앞에서 말했던 것처럼 과거의 내용을 모으고 정리하는 것이 그리 활발하지는 않기에, 이렇게 자료를 모아 정리하는 것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이 되어 책을 읽는 내내 저자에게 고맙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이 나온 지 5년이 되었는데 10년 정도 단위로 IT사를 정리해 보면 그것 또한 재밌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날짜 : 2014. 1. 22.

저자 : 조신 저

출판사 : 중앙북스

이미지 : 예스24

정가 : 18,000원


최근 IT산업계에서 많이 들렸던 단어 중 하나는 가치사슬을 나타낸다는 C-P-N-D(컨텐츠-플랫폼-네트워크-디바이스)이다.


그 IT생태계 전반에 요즘 많이 논의되는 모바일, 스마트TV, 스마트홈을 추가해서 요즘(책의 저술 시기로는 2012년말까지)의 산업 동향을 고려한 우리나라의 산업전략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를 잘 정리했다.


C-P-N-D 시각으로 IT 생태계를 들여다보면 SW산업이 부수적인 요인으로 다뤄지는 점 때문에 그리 좋아하는 관점은 아니긴 하다. SW산업의 방향은 빼놓아도 당장 많이 이야기되는 웹 생태계마저 플랫폼의 일부 정도로만 보여지는 상황이니 그렇다.


하지만, 그래도 놓치고 있던 국내외 동향, 스마트폰의 구성요소와 이 뒤에 숨겨진 AP, 모뎀 등 핵심부품을 둘러싸고 있는 퀄컴과 삼성의 산업전략 등은 재미있게 봤다.


그리고, 미국, 일본, 유럽 등 우리에게서 앞서있다고 생각한 나라들, 중국 등 쫓기는 느낌을 주는 나라들의 관계에 대해서도 언론에서는 샌드위치라는 간단한 단어로만 정리를 해서 위기의식만 크게 가지고 있었는데, 이 책을 통해 그들 사이에서 우리가 얼마나 잘 달려오고 있었는지를 알 수 있었다.


물론, 현상을 중심으로 잘 분석한 책이기에 미래에도 우리가 지금처럼 좋은 입장일 수는 없을 것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더 많은 노력이 따라야 한다는 것은 자명하겠지만.


그리고, 디바이스라는 한 단어로 표현된 산업이 그 속에 들어가보면 부품, 소재(Parts, Materials)가 있고, 이들에 대한 우리나라의 산업경쟁력을 만들어 내는 것이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체질 강화를 위해서도 많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날짜 : 2013. 7. 16.

저자 : 김국현 저

출판사 : 궁리

이미지 : 예스24

정가 : 13,800원


코드 한 줄 없는 IT 이야기, 웹 2.0 경제학 등 우리나라 IT의 현재에 대해 이야기했던 저자가 2013년 현재 우리나라 IT에 대해 다시 이야기한 책이다. 어쩌다보니 컴맹에 가까워 블로그는 들어가지 않고 가끔씩 나오는 책을 통해 그의 관점과 이야기를 보는데, 이번 책은 많은 새로운 시각과 함께 몇가지 궁금함도 따라왔다.


액티브X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지만 공인인증서에 대해서는 나름 역할이 있지 않는가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저자는 모두가 사라져야할 것으로 보고 있어서, 막연하게 생각했던 내용에 어떤 것을 잘못봐서 그런지 다시 돌아봐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고,


IT를 별도의 단일 산업으로 보는 것은 좁은 시각이고 모든 산업을 변화시킬 파괴적 촉매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IT를 다른 산업에 부수적인 역할을 할 존재로 보는 사람이 활용하기 좋은 말이 될 가능성도 있어 보였다.


토건산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IT산업에 접근했던 것이 우리나라 IT산업 전반에 깔린 문제의 기저로 보고 있는 것에는 공감하긴 하는데, 그것을 어떻게 풀어나갈지 생각해보면 어려운 상황인 것 같아 안타깝기도 했다.


다만, SW에 대해 이야기하는 사람을 보면, 패키지 산업 중심의 시각과 서비스 중심으로 보는 시각 두가지가 혼재되어 있으며, 개발자 노임단가, 갑을병졍의 하도급 체제는 모두 서비스 중심으로 보는 시각에서 그 체제가 더 강화되고 있는데, 책의 뒷쪽으로 가면 SW의 서비스화를 이야기하고 있어서, 저자는 과연 SW와 관련한 우리나라 IT의 미래를 어떤 형태로 그리고 있는지 궁금해졌다.




날짜 : 2013. 3. 12.

저자 : Steve Ballmer, Don Tapscott, 김종훈 등 저, 방영호, 조혜란, 김미란 역, 서울디지털포럼사무국 엮음

출판사 : 알키

이미지 : 예스24

정가 : 15,000원


줄여서 SDF로 쓰는 서울디지털포럼은 소개에 따르면 디지털 시대의 흐름을 읽어내고 혁신을 이뤄낼 영감을 공유하며 미래의 비전을 제시하기 위하여 마련된 비영리 목적의 국제 포럼으로 SBS가 주최하며 2012년에는 제9회 행사가 '공존 기술, 사람, 그리고 큰 희망'이라는 화두를 가지고 논의되었다.


이 책은 그 행사에사 발표된 자료를 기술, 사회, 빅데이터, 콘텐츠, 미디어라는 5개의 주제에 따라 다시 정리한 것이다.


서로 다른 지식과 경험을 가진 발표자 23명의 글이 모여 있어서 어떤 글에는 격하게 공감도 되며, 어떤 글에는 방향이 다르다는 느낌도 들었지만, 인류의 미래라는 화두에 대하여 많은 고민을 한 사람들의 글을 압축된 책으로 읽는 재미는 쏠쏠했다.


그리고, 외국인과 한국인의 관심 대상이 조금 차이난다는 느낌도 많이 받았다. 한국인 발표자의 글 중에서 실제로 미국에서 계속 거주해 온 김종훈씨 외에는 큰 담론에 대한 고민보다는 현실을 헤쳐나갈 방안에 너무 집중되어 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글로벌 브레인(global brain), 테크늄(technium), 작업 영역화(enveloping) 등 새로운 개념도 많이 배웠고, 인공 지능의 AI를 artificial intelligence가 아닌 augmented intelligence로 접근하는 시각도 참신했다.

 

날짜: 2012.4.18.

저자: 김인성 저

출판사: 북하우스

이미지: 예스24

정가: 15,000원

 

이름만 보고는 누구인지 몰랐는데, minix.tistory.com이라는 블로그에서 네이버의 키워드 실시간 순위 조작가능성에 대한 웹툰을 봤던 분이었다.

 

내수시장 위주로 시장공략을 하고 있는 국내 포털, 통신사,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 등에 대해 IT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비판을 하고 있는 책이다.

 

페이스북, 트위터 등 외산 SNS가 활성화되고, 네이버, 다음 등 포털은 해외진출 실패 및 폐쇄적인 정책을 유지하고 있는 IT산업의 현황, 사용자에게 과도한/폐쇄된 인터넷 연결을 요구하다 아이폰의 출시로 변화한 이동통신 산업, IPTV/스마트TV로 드러난 방통융합에서 망중립성 이슈 등 IT산업이라고 했지만,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기술, 이동통신, 방송통신 전반에 대해 '개방'이라는 키워드를 주제로 한국의 문제점에 대해 논하고 있는 책이다.

 

IT산업이 멸망까지는 하지 않겠지만, 한때 자연과학대/공과대에서 꽤 높은 커트라인을 보이던 전산학과/컴퓨터공학과가 현재는 가장 낮은 커트라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10년 이상 근무자의 종착지는 닭집이라는 자조섞인 농담을 보면, 전공자/전공희망자가 IT산업의 미래를 그리 밝게 보지 않는 것 같긴 하다.

 

일부 의견이 다른 부분도 있긴 하지만, 타당성 있는 키워드로 일관되게 책이 쓰여진 면에서는 높게 쳐주고 싶다. 다만, 장하준 교수의 사다리 걷어차기에서 논의되었듯이, 성숙기에 이르지 못한 산업은 보호/육성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보는 입장이며, 국내 IT산업의 정책 결정시에도 이런 부분이 고려되지 않았을까 하며, 그런 측면에서 보면 개방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접근도 나올 수 있을 것이다.

 

'네이버는 보호의 대상인지, 개방/경쟁의 대상인지' 묻는것처럼 그것을 하나하나 파고 들어가서 논의를 한다면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 많이 나올 것 같긴 하지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