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 2025. 2. 6.

저자 : Yuval Noah Harari 저, 김명주 역

출판사 : 김영사

이미지 : 예스24

정가 : 27,800원

 

사피엔스, 호모 데우스 등 그의 전작을 재미있게 읽었기 때문에 망설이지 않고 선택했는데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새로운 시각을 많이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저자는 의도하지 않았겠지만 지금 우리나라 상황과 연결시켜 생각할 이야기들이 많았기 때문에 관료제, 종교, 민주주의, 정보, 인공지능 등 저자가 다룬 키워드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면서 읽었다.

 

우리가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위의 키워드들이 역사적으로 보면 계속 변화하고 있었고, 역사 전반에 걸쳐 정보 네트워크는 진실보다는 질서를 더 선호해 왔다는 말은 많이 의미심장한 것이었다. 정보기술의 발달로 소수에게 있던 권력이 민주화되면서 진실을 공유하기 더 쉬워졌다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 정보기술의 발달이 반드시 진실을 공유하는데 도움되지는 않는다는 말이, 정보의 홍수 속에서 무엇이 진실인지 고민하고 있는 현상을 잘 설명해주는 말로 느껴졌다.

 

인공지능 기술이 인공 일반 지능이라 부르는 AGI수준으로 진행되는 현재에는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 지 가늠할 수 없는데, 이것을 역사학자의 입장에서 잘 분석하고, AGI가 대두되기 전에 이미 작업을 시작해서, 인공지능이 인류를 멸망시킬지도 모른다는 비관론과 모든 문제를 해결해 줄것이라는 낙관론 사이에서 강력한 자체 교정 메커니즘을 갖춘 균형 잡힌 정보 네트워크를 만들기를 권고하는 그의 혜안이 감탄스러웠다.

 

저자가 제안한 것이 잘 받아들여져서, 제국주의 시대와 같이 AI기술력에 의한 국가간 약육강식의 시대가 펼쳐지지 않았으면 하고, 단기적으로는 사회 체계를 통해서든 기술을 통해서든 가짜뉴스는 사라졌으면 한다.

날짜 : 2016. 5. 16.

저자 : 이지효 저

출판사 : 알에이치케이코리아

이미지 : 예스24

정가 : 17,000원


ICT의 적용, 확산을 통한 사회, 산업 전반의 변화를 디지털이라는 단어로 표현하여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어찌보면 완전히 새로운 이론을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컨설턴트 입장에서 상황과 대응하기 위한 제안을 정리한 것이기에 상황에 대해 좀 더 잘 인식할 수 있는 재미를 준다.


전기차의 도입으로 기존 자동차 산업을 흔들어 놓고 있는 테슬라가 단순히 그것만이 흔드는 요인이 아니고, 자동차의 개조 하나 없이 SW 업데이트/업그레이드 만으로 오토파일럿이라는 완전히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등 기존 산업에서 상상도 못했고 할 수도 없었던 것을 해내는 것이 진정한 저력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객가치, 프로세스, 생태계 3가지 측면에서 디지털 기업을 들여다보고, 디지털 요소기술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인프라를 들고 있으며, 기존 산업의 디지털화 방향으로 새로운 고객가치, 프로세스를 이야기하며, 우리나라 산업을 지역과 경쟁력으로 구분하여 주요 이슈를 정리하는 등 현상에 대해 정리하고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 한 수 배운 느낌이었다.


다만, ICT의 발달로 현재의 모습이 될 것이라는 것을 아무도 예측 못했듯이, 디지털 시대 도래로 인한 변화를 방향성을 이야기하는 것은 쉬워도, 현재의 플레이어가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생각되고 이 책 또한 그 점에서는 어찌보면 비현실적이다 싶을 정도로 설득력을 가지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그렇다 하더라도, 기존 산업/정부가 디지털 시대에 맞게 산업 형태, 일하는 형태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현재의 경쟁력을 계속 가져갈 수 있도록 변화해 나가야 한다는 측면에서 저자의 이야기를 곰곰이 생각할 필요는 있다.


날짜 : 2014. 6. 30.

저자 : David Weinberger 저, 이진원 역

출판사 : 리더스북

이미지 : 예스24

정가 : 18,000원


네이버에 지식인이라는 서비스가 나올때 쯤 우리나라에서도 지식서비스에 대한 바람이 불었다. 데이터-정보-지식-지혜의 구조 속에서 단순하게 모여있는 데이터, 정보를 지식으로 만들어서 지식사회/국가를 만들자는 바람이 불었고, 각 회사에서는 지식관리시스템을 다퉈 도입하였다.


하지만, 지식관리시스템에는 지식보다는 잡다한 상식 정도의 정보가 쌓이기만 하면서 개인적으로는 지식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생겼고, 그러다 최근 5년 동안 지식이라는 단어가 크게 대두되지 않아서 그냥 한때의 유행어였나 정도로 생각을 하고 있으면서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사실이 사실이 아니고 전문가는 어디에나 있고 공간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은 공간 그 자체라는 영어부제는 인터넷 시대를 맞아 변화된 지식의 모습을 간단히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저자가 주장하는 핵심은 공간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은 공간 그 자체라는 부제가 아닌가 싶다. 지식의 네트워크화가 지식 인프라에 있어 가장 큰 변화가 되고, 그러다 보니 알기에는 너무 크다라는 영어 원제가 나오지 않았을까 싶으니.


어쨌든 지식이라는 것에 대해 스스로가 편견을 가지고 있었고, 그것이 인터넷과 만나 더 활발하게 살아나가는 데 그것을 놓치지 않았는가 싶은 게 가장 큰 발견이 아닌가 싶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