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 2024. 5. 12.

저자 : Frans De Waal 저, 장대익, 황상익 역

출판사 : 바다출판사

이미지 : 예스24

정가 : 18,000원

 

찾아보니 이 책이 처음 발간된 때가 42년 전인 1982년이고, 읽고 있는 책은 2007년에 출간된 25년 기념판이다. 50년쯤 전에 아른헴 동물원에서 침팬지를 관찰하면서 쓴 책이지만, 지금 읽어도 오래되었다는 느낌이 전혀 들지 않는 것이 가장 흥미로웠다.

 

직전에 읽었던 '차이에 관한 생각'은 저자의 의견을 뒷받침하기 위해 보노보노, 침팬지 등 여러 종류의 유인원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고, 젠더에 대해 이야기하는 형태로 되어 있어 그리 재미있게 읽히지 않았는데, 이 책은 특정 동물원의 침팬지 집단만을 대상으로 이야기하고 있어 더 편하게 읽을 수 있었다.

 

마지막 장에 공식화, 영향력, 연합, 균형, 안정, 교환, 술수, 합리적 전략, 특권의 9가지 제목으로 침팬지가 정치적인 행동을 하는 이유를 잘 분석해놓고 있어 저자가 내린 결론 또한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사람의 고유한 특성이라고 했던 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비롯한 기억과 전략적 사고 등 여러가지 것들이 사람만이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다시금 알 수 있게 해줬고, 제한되어 있는 침팬지 사회에서 발견된 여러가지 정치적 행동을 사람들 사이에서도 발견가능한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날짜 : 2017. 3. 29.

저자 : 정재승 등 저, 미래전략연구센터 임춘택, 이광형 편집

출판사 : 푸른지식

이미지 : 예스24

정가 : 16,000원


너무 긴 시간에 걸쳐 읽은 책이라 평을 한다는 것 자체가 어색하기는 하지만, 미래라는 한 가지 주제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모여 논의한다는 측면에서 꽤나 흥미있었던 책이다.


다만, 가지고 있는 지식이 특정 분야에 한정적이다 보니 다른 분야에 대한 내용은 이해가 한정적이라는 측면에서 아쉬움이 많이 생기기도 했다.


미래예측, 중국, 뇌과학, 콘텐츠, 소셜미디어, 지식재산, 환경, 로봇, 항공우주, 생명공학, 벤처와 같은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해당분야의 전문가가 이야기를 해주고 있으니 미래를 고민하는 측면에서 재미있지 않을까 싶지만, 


책을 완료하는 시점이 출판되고 거의 4년이 되다보니 시점에 대한 아쉬움도 많이 남았다.


그리고, 이 책은 2015, 2016년 버전이 후속으로 계속 나오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계속 본다면 미래는 보지 못하더라도 우리가 중요시하고 있는 관점의 변화에 대해서는 통찰할 수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날짜 : 2013. 11. 13.

저자 : Martin Lindstrom 저, 박세연 역

출판사 : 웅진지식하우스

이미지 : 예스24

정가 : 15,000원


물건을 구입하는 사람에게 깔려있는 심리와 그 심리를 이용하여 더 많이 판매하려는 기업의 노력에 대하여 쓴 책이다.


세뇌라는 뜻을 가진 영어단어인 brainwash를 이용하여, 브랜드를 중심으로 소비자의 심리를 파고다는 상업전략을 책 제목인 brandwash라는 단어로 만들어 낸 것 같고,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전략, 공포심을 자극, 보상체계 등을 이용하여 계속 구매하게 하는 전략, 성적인 요소를 활용, 브랜드/트렌드를 이용, 향수를 자극, 유명인을 이용하는 것 등 다양한 형태의 마케팅 전략이 어떻게 실제로 존재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잘 설명하고 있다.


몇가지 심리체계는 이전에 봤던 '빈서판'과 같은 책을 통해 선천적인 요소로 이해하고 있는데, 여기에서는 후천적인 요소로 말하는 것이 있어서 조금 의아하기도 했지만,


마지막 장에 나오는 가상의 가족이 한 동네에서 여러 제품들을 입소문을 통해 홍보하는 것이 실제로 효과있다는 실험은 흥미롭기도 했지만, 이웃을 믿는 사람의 심리를 악용한다는 면에서는 도덕적인 측면에서 이슈가 되어야하는 것 아닌가 싶었다.


요즘, 지인의 핸드폰을 이용하여 악성코드를 보내는 스미싱 기법이 문제가 되듯이, 사람이 늘 긴장하고 의심하면서 살수는 없는 것인데 그런 보호장벽을 낮춰야 될 순간까지도 의심하면서 봐야 된다는 것이니...


그리고, 최근 IT업계에서 화두로 논의되는 빅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마이닝이라는 형태로 설명을 하고 있는데 이 책에서는 그다지 긍정적으로 보고 있지는 않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