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2025. 4. 10.

저자: Nassim Nicholas Taleb 저, 김원호 역
출판사: 비즈니스북스
이미지: 예스24
정가: 19,800원

 

저자가 인세르토(라틴어로 불확실성을 의미) 시리즈로 말한 책 5권(행운에 속지 마라, 블랙 스완, 블랙스완과 함께 가라, 안티프래질)의 마지막에 해당하는 책이다. 그 중 블랙스완, 안티프래질을 읽었는데 시간이 많이 지나, 책이 읽기 많이 어려웠던 기억이 있었는데 다행히도 이번 책은 상대적으로 쉽게 읽을 수 있었다.

 

이 책에서 완전히 새로운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전작의 이야기를 책임이라는 측면에서 깊이 들여다보는 형태로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책을 읽는 동안에는 저자의 신선한 시각에 많이 자극을 받았고, 다 읽고 나서는 어디까지 수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해제에서 이한상 교수가 책의 중심주제를 '위험을 감수하고 사업에 뛰어들어 돈을 벌어서 타인을 위해 쓰며 나 자신보다 더 큰 존재를 위해 자신의 이익이나 행복을 기꺼이 희상하라'는 말로 잘 정리했는데, 책을 읽으면서는 공감했지만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궁금함이 생기기도 했다.

 

책임을 가지고 직접 사업을 하는 사람을 인정하는 시각은 좋지만, 개인적인 이해관계에 따라 공정하지 못한 판단이 있을 수 있어서 관료제, 사법체계 등 객관적 제3자가 역할을 하게 만든 것으로 이해되는데 이들과 학자를 현실세계와 분리되어 책임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비현실적인 판단을 하는 사람으로 묶어서 정리된 것은 납득이 되지 않았다.

 

현실에 책임을 가지는 사람은 단순한 해법을 추구하고, 위험이나 책임을 회피하려는 사람은 복잡하고 중앙화된 해법을 추구한다는 이야기와 돈을 벌면 이익을 유지하고 실패하면 다른 사람이 (세금으로) 비용을 부담하고 블랙 스완을 일으킨다는 밥 루빈 트레이드 이야기에 대해서는 충분히 공감을 했고, 그 자신이 이 깨달음으로 큰 부자가 되었기 때문에 제시하는 이야기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까지 이해하고 있는 세상과는 접근 방식부터 다르기 때문에 사고 체계를 바꿔야 될 상황이어서 de jure standard가 아닌 de facto standard를 받아들여야 하는 상황이 된 기분이었다.

 

어쨌든 저자가 이 논리로 투자에 성공한 사람이기 때문에 제한된 환경에서만 나타나고 단순하고 예측 가능한 중간 범주의 리스크를 수용하고, 어디에든 나타날 수 있고 복합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극단 범주의 리스크는 반드시 회피하는 방식으로 투자를 해볼까라는 호기심은 생기게 되었다.


날짜 : 2014. 11. 3.

저자 : Nate Silver 저, 이경식 역

출판사 : 더퀘스트

이미지 : 예스24

정가 : 28,000원


저자의 화려한 예측 결과를 차지하고, 이 책에서 논의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베이즈 확률론'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학교에서 통계학 수업시간에 배웠던 분산, 표준편차와 같은 개념으로 95%, 99%의 신뢰도로 현상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추론할 대상의 사전 확률과 추가 관측을 통하여 나온 가능도를 이용하여 사후 확률을 구하는 방식이다. 


어딘가에서 들어본 적이 있긴 하지만 정확하게 개념이 잡혀있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는 것이 조금은 어려웠고, 베이즈 확률론의 가장 유명한 예시로는 '몬티 홀 문제(Monty Hall Problem)'이라는 것이 있다. 이것 또한 처음 들었을 때에는 잘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이고, 지금도 가끔씩 의문이 생기고 있는 것이긴 하다.


경제, 정치, 야구, 기상, 지진, 전염병, 체스, 포커, 주식, 지구온난화, 테러라는 쉽게 이해할 만한 현상에 대한 저자의 경험과 평균과 불확실성, 베이즈 정리에 대한 설명을 잘 조합하여 직관적으로 이해되는 것은 아니긴 했지만 재미있게 볼 수 있었고,


경제 분야는 기존의 통계이론과 다르게 바라보는 나심 탈레브와 어떻게 보면 유사한 관점이며, 탈레브가 어렵게 설명한 것을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지 않았는가 싶기도 했다.


단순한 빅데이터에 대한 책일 것으로 생각하고 읽었지만 그것보다는 조금 더 폭이 넓게, 우리 주변에 있는 소음과 신호를 어떻게 구분할 것인지, 베이즈 정리가 어떤 역할을 하는 지 잘 설명한 책이었다.


날짜 : 2013. 8. 19.

저자 : Naomi Oreskes, Erik M. M. Conway 저, 유강은 역

출판사: 미지북스

이미지: 예스24

정가: 25,000원


흡연 유해성, 스타워즈 계획, 산성비, 오존층 구멍, 간접흡연 유해성, 지구온난화에 대해서 미국 내에서 있어왔던 논쟁과 그것의 허와실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이다.


살다보면 의도적이든 이해력이 부족해서든 현상/데이터를 잘못 읽는 경우가 있긴 한데, 이 책에서는 연구자들이 꽤 깊게 연구해서 어느정도 합의를 이룬(결론을 내린) 사항에 대해, 상반되는 주장을 제기해서 논쟁을 일으키고 그 상황에 대해 정책적으로 대응을 하지 못하게 만드는 사람과 기관을 보여준다.


책에서는 대표적인 사람으로 프레더릭 사이츠Frederick Seitz, 프레드 싱어S. Fred Singer, 로버트 재스트로Robert Jastrow, 윌리엄 니런버그William Nierenberg의 실명을 제기하고, 그들이 과학계 내에서는 명망이 있기는 하지만 본인의 전공분야도 아닌 것에 대하여, 연구자들이 제시한 데이터를 무시하고 다른 형태로 주장을 해서 해당 분야에 대해 국민이 계속된 피해를 보게 된다는 내용인데,


개인적으로도 오존층의 구멍과 지구 온난화에 대해서는 조금 회의적으로 생각하는 부분이 있는데, 그런 시각이 앞에서 얘기한 반대하는 사람의 논리에 빠진 것인가라는 고민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어느 정도 결론이 난 사항도 무작정 단정하지 않는 과학의 신중함을 불확실성으로 바꿔 호도하면 안된다라는 저자의 이야기는 많이 의미심장한 내용이며, 과학적으로 논의가 끝난 사항에 대하여 공정보도를 이유로 입증되지 않은 반박을 입증된 사항과 동등한 수준에서 다루는 현실도 깊이 고민해야할 것이 아닌가 싶다(물론 언론이 그런 사항에 대해 양쪽의 주장을 검증하고 신뢰수준을 평가할만큼의 지식을 갖추는 것이 쉽지는 않겠지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