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 2016. 1. 21.

저자 : Eric Topol 저, 김성훈 역, 이은 감수

출판사 : 청년의사

이미지 : 예스24

정가 : 30,000원


저자가 쓴 전작은 읽어보지 못했지만, IT기술(특히 스마트폰)의 발달과 확산과 연계한 의료분야가 어떻게 바뀌어야 할 것인지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책이었다.


의사가 아닌 의료서비스를 받는 사람의 입장에서 IT와 의료가 연계되어 어떻게 바뀌어야 할 것을 생각해 보면 주로 병원 내 서비스의 융합서비스화와 이를 통한 변화를 생각하게 되는데, 저자는 의료인의 입장에서 다른 시각에서 변화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야기해 주고 있다.


환자와 가족들이 모여 직접 치료방법을 고민해 보는 PatientsLikeMe와 유전자 분석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23andMe와 같은 서비스에 대해서는 알고 있었지만, 이들이 가지는 함의와 미국의 비싼 의료비를 타개할 수 있는 변화에 대해서는 모르고 있었기에 쉽지 않은 내용이긴 했지만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의사가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서 환자에게 필요한 것만 알려주는 의료서비스를, 비용을 지불하는 사람이 (각종 검사결과자료를 포함한) 모든 서비스 내역에 대해 당연히 알아야 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그전에는 생각지 못했던 시각을 가질 수 있었고,


휴대용 초음파 스캐너가 있는데도 그보다 못한 청진기를 고집하는 의사에 대한 의문이나 피 한방울로 주사기로 피를 뽑아서 하던 혈액검사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 등 병원을 들리지 않고도 간단하게 왠만한 기초진단을 할 수 있는 기술이 발달하고 있으며, IoT와 스마트폰 기술과 연계하여 그 결과를 축적하는 것도 간단하고, 분석도 개인정보보호 등의 이슈만 넘어가고 나면 그렇게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말은 조금은 충격적이었다.


그리고, 이에 대해 회의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을 위해 임신테스트도 예전에는 병원에 와서만 가능했지만 이제는 집에서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말도 같이 있었고.


이런 책을 통해서, 의료와 IT, IoT의 융합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이라면, 먼저 이야기했던 것처럼 기존 의료장비의 스마트화가 아닌 의료서비스 전체의 근본적인 변화까지 포함하여 고민하고 좋은 답을 내놓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날짜 : 2014. 1. 28.

저자 : Daniel Sieberg 저, 고영삼, 우진하 역

출판사 : 교보문고

이미지 : 예스24

정가 : 14,000원


스마트폰이 많이 쓰이면서 이전부터 이야기하던 유비쿼터스라는 개념을 사람들이 피부로 느끼는 시대가 오게 되었는데, 이런 현상에 따라오는 부작용으로 디지털 기기의 과도한 사용이 얘기되고 있다.


이런 현상을 중독으로 보고,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많이 이야기되는 것이 디지털 해독(Digital Detox)이라는 개념인데, 저자는 조금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면서 디지털 다이어트 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중독/해독보다는 비만/다이어트 개념이 조금 더 가치중립적이기도 하고, 사람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개념인 것 같아 좋은 발상으로 여겨졌다.


책 내용에서는 디지털 기기의 사용을 줄이고, 본인이 조절할 수 있게 되는(체중 조절을 위하여 음식 섭취를 줄이고 조절하게 되는 것처럼) 과정을 28일에 나눠 이야기하고 있는데, 시간 순서로 28일간 할 것을 나열했다기 보다는 다이어트를 위하여 할 일을 4개의 단계(인지, 시작, 연결, 활성화), 28개의 세부 내용으로 나눠 책을 읽는 사람도 쉽게 따라할 수 있게 했다고 보면 될 것 같다.


그리고, 인터넷중독에 대해 실제 일을 하고 있는 사람이 번역에 참여하여, 우리나라 현실과 조금은 안맞을수도 있는 책의 내용을 보완하는 페이지를 추가한 것은 좋은 아이디어 같다.


아직, 컴퓨터, PC, 인터넷, 웹, 스마트폰 등의 등장으로 인하여 우리의 삶이 어디까지 바뀔 것인지, 사람들은 그러한 기기와 문명을 어느 수준까지 활용할 것인지 한계가 보이지 않은 상황이기에 미래의 모습이 유토피아일지 디스토피아일지는 알 수 없고, 저자가 제시하는 대안이 적극적인 활용을 막고 이전 형태의 삶으로 갈 것을 추천할 수도 있기는 하지만, 기기로부터 좀 더 자유로운 주체적인 삶을 제안한다는 면에서는 한번쯤은 다들 따라해 볼만한 내용으로 보인다.


참고로 저자가 제시한 디지털 다이어트 10계명은 다음과 같다.

1. 디지털 매너를 지켜라

2. 실제 세상에서의 삶을 잊지 말라

3. 그 디지털 기기가 꼭 필요한지 스스로에게 물어보라

4. 디지털 기술에 대한 조언자를 찾아라

5. 정기적으로 해독을 행하라

6. 디지털 기기 없이 편히 잠들어라

7. 사람인지 기기인지 선택하라

8. 'IF-THEN' 원칙을 기억하라

9. 자신의 e타임을 설정하라

10. 자신의 본능을 신뢰하라


날짜 : 2014. 1. 22.

저자 : 조신 저

출판사 : 중앙북스

이미지 : 예스24

정가 : 18,000원


최근 IT산업계에서 많이 들렸던 단어 중 하나는 가치사슬을 나타낸다는 C-P-N-D(컨텐츠-플랫폼-네트워크-디바이스)이다.


그 IT생태계 전반에 요즘 많이 논의되는 모바일, 스마트TV, 스마트홈을 추가해서 요즘(책의 저술 시기로는 2012년말까지)의 산업 동향을 고려한 우리나라의 산업전략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를 잘 정리했다.


C-P-N-D 시각으로 IT 생태계를 들여다보면 SW산업이 부수적인 요인으로 다뤄지는 점 때문에 그리 좋아하는 관점은 아니긴 하다. SW산업의 방향은 빼놓아도 당장 많이 이야기되는 웹 생태계마저 플랫폼의 일부 정도로만 보여지는 상황이니 그렇다.


하지만, 그래도 놓치고 있던 국내외 동향, 스마트폰의 구성요소와 이 뒤에 숨겨진 AP, 모뎀 등 핵심부품을 둘러싸고 있는 퀄컴과 삼성의 산업전략 등은 재미있게 봤다.


그리고, 미국, 일본, 유럽 등 우리에게서 앞서있다고 생각한 나라들, 중국 등 쫓기는 느낌을 주는 나라들의 관계에 대해서도 언론에서는 샌드위치라는 간단한 단어로만 정리를 해서 위기의식만 크게 가지고 있었는데, 이 책을 통해 그들 사이에서 우리가 얼마나 잘 달려오고 있었는지를 알 수 있었다.


물론, 현상을 중심으로 잘 분석한 책이기에 미래에도 우리가 지금처럼 좋은 입장일 수는 없을 것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더 많은 노력이 따라야 한다는 것은 자명하겠지만.


그리고, 디바이스라는 한 단어로 표현된 산업이 그 속에 들어가보면 부품, 소재(Parts, Materials)가 있고, 이들에 대한 우리나라의 산업경쟁력을 만들어 내는 것이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체질 강화를 위해서도 많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날짜 : 2013. 8. 16.

저자 : Sherry Turkle 저, 이은주 역

출판사 : 청림출판

이미지 : 예스24

정가 : 23,000원


공학으로 주로 알려진 매사추세츠 주 지방대학(MIT)에 있는 저자가 철학/심리학 측면에서 기술개발에 대하여 이야기한 책이다.


이 앞에 읽었던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긴 하지만, 이야기가 로봇으로 넘어가면서 책이 산으로 올라간 느낌이었다.


다시 말하면, 책은 크게 2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네트워크화, 친밀함 속 새로운 고독)는 SNS, 스마트폰 등으로 바뀌고 있는 삶이라는 관심사항에 대한 이야기라 재미있게 읽었는데, 2부(로봇 시대, 고독 속 새로운 친교)는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현상(또는 아직 목격하지 못한 현상)이라 너무 앞서나가는 내용이라는 느낌과 왜 읽고 있는지라는 의문도 같이 들었다.


앞에 읽은 '멍때려라'의 저자인 신동원 의사가 이야기했듯이 이제는 접속은 줄이고 접촉은 늘려야 할 때가 아닌가 싶은데, 사람들은 네트워크속 관계에 더 치중하면서 고독이 더 늘어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조금 재미없게 읽긴 했지만, 타마고치 외에 우리나라에서는 히트 못한 아이보, 퍼비, 파로 등 애완로봇이 고령화사회로의 진전에 따라 늘어나는 외로워하는 사람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을지 궁금하긴 했다.


현재처럼 일자리 문제가 계속 이어진다고 하면, 사람이 대화를 해주면서 그런 외로움을 해소하는 것도 방법이 아닌가 싶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그런 로봇의 존재가 부모님을 제대로 챙겨주지 못하는 사람에게 면죄부로 작용할 것 같기도 하고...

 

날짜: 2012.4.18.

저자: 김인성 저

출판사: 북하우스

이미지: 예스24

정가: 15,000원

 

이름만 보고는 누구인지 몰랐는데, minix.tistory.com이라는 블로그에서 네이버의 키워드 실시간 순위 조작가능성에 대한 웹툰을 봤던 분이었다.

 

내수시장 위주로 시장공략을 하고 있는 국내 포털, 통신사,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 등에 대해 IT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비판을 하고 있는 책이다.

 

페이스북, 트위터 등 외산 SNS가 활성화되고, 네이버, 다음 등 포털은 해외진출 실패 및 폐쇄적인 정책을 유지하고 있는 IT산업의 현황, 사용자에게 과도한/폐쇄된 인터넷 연결을 요구하다 아이폰의 출시로 변화한 이동통신 산업, IPTV/스마트TV로 드러난 방통융합에서 망중립성 이슈 등 IT산업이라고 했지만,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기술, 이동통신, 방송통신 전반에 대해 '개방'이라는 키워드를 주제로 한국의 문제점에 대해 논하고 있는 책이다.

 

IT산업이 멸망까지는 하지 않겠지만, 한때 자연과학대/공과대에서 꽤 높은 커트라인을 보이던 전산학과/컴퓨터공학과가 현재는 가장 낮은 커트라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10년 이상 근무자의 종착지는 닭집이라는 자조섞인 농담을 보면, 전공자/전공희망자가 IT산업의 미래를 그리 밝게 보지 않는 것 같긴 하다.

 

일부 의견이 다른 부분도 있긴 하지만, 타당성 있는 키워드로 일관되게 책이 쓰여진 면에서는 높게 쳐주고 싶다. 다만, 장하준 교수의 사다리 걷어차기에서 논의되었듯이, 성숙기에 이르지 못한 산업은 보호/육성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보는 입장이며, 국내 IT산업의 정책 결정시에도 이런 부분이 고려되지 않았을까 하며, 그런 측면에서 보면 개방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접근도 나올 수 있을 것이다.

 

'네이버는 보호의 대상인지, 개방/경쟁의 대상인지' 묻는것처럼 그것을 하나하나 파고 들어가서 논의를 한다면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 많이 나올 것 같긴 하지만.

날짜: 2011.10.29
저자: 김지현 저
출판사: 21세기북스
이미지: 예스24
정가: 14,000원

저자 소개에 대한민국 최고의 모바일 전문가로 되어 있어서 누구인지 궁금했는데, IT 동향에 대한 정보를 찾아볼 때 들리곤 하던 블로그(oojoo.co.kr)를 운영하던 분이었다.

모바일 분야에서도 요즘 가장 화두가 되고 있는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하는 기기와 이동형 무선인터넷 또는 모바일 인터넷이라 불리는 통신망을 대상으로 하는 변화에 대해(극단적으로는 아이폰 이전과 이후의 세상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모바일 이전 시점부터 해서 전세계와 한국의 흐름을 잘 짚고 있으며, 현재 진행중인 방향, 미래에 대해서도 트렌드를 잘 따라가고 있기는 하지만 아쉬움도 좀 있었다.

GSM 계열의 3G의 기술로 HSDPA, CDMA 계열로 EVDO Rev(LGT의 EVDO Rev는 2.5세대이긴 하지만)가 있는데 책에서는 3G(HSDPA), EVDO Rev.(LGT)라고 기술되어 앞에서는 통신기술 세대(기술명), 뒤에는 기술명(통신사명)이라는 이상한 조합으로 나열되어 있고, 웹이라고 써도 될 것을 굳이 WWW로 써서 읽기에 좀 불편하기도 했다.

이런 사소한 것보다 더 큰 점은, 구글이라는 회사의 본질과 그것이 전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명쾌하게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쓴 것이 아닌가라는 것이다.

구글을 피상적으로 보면 검색시장을 집어삼키고 그것을 기반으로 여러 서비스를 만드는 회사라고 이해될수도 있겠지만, 이전에 읽었던 '구글드'라는 책에서 나와있듯이 구글이라는 회사의 수익 모델은 광고이고 거기서 나오는 막대한 자금력을 기반으로 각종 서비스를 개발하고 미래에 대비하는 회사이다.

구글이 잡아먹고 있는 광고시장에 신문, 방송분야에 수익을 가져다주던 광고시장도 포함되어 있기에 그런 미디어 기업도 갈수록 수익성이 악화되는 구조적인 문제를 안게 된 것이다. 미디어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진 것이 신문이나 방송을 볼 시간을 인터넷과 함께 보낸다는 것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수익의 문제가 더 치명적이라고 개인적으로는 보고 있는데, 책에서는 후자가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읽힌다.

구글과 애플의 AdMob인수전도 구글이 모바일 광고라는 새로운 시장에서도 지금과 같은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보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은데, 국내 포털의 광고시장의 이야기 후에 구글과 애플의 이야기가 나오고 향후 국내 모바일 광고시장을 전망해 보는 것은 일관성이 없어보였다.

수익구조 측면에서 모바일 혁신을 들여다본다면 신문, 방송측의 절박한 입장, 수익모델창출 측면에서 안드로이드 등 구글의 모바일 산업에 대한 접근을 연결해 나가면서 좀 더 괜찮은 글이 되지 않았을까 싶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