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 2017. 4. 21.

저자 : Richard Dobbs, James Manyika 저, 고영태 역, 맥킨지 한국사무소 감수

출판사 : 청림출판

이미지 : 예스24

정가 : 16,000원


여러곳에서 컨설턴트로 일을 했던 저자들이 그간 경험을 바탕으로 미래를 바꾸는 데 큰 영향을 미칠 요인과, 그 요인으로 인한 미래 변화의 방향을 이야기하는 책이다.


저자가 보는 미래를 이끄는 트렌드로는 신흥국의 도시화, 파괴적 혁신을 이끄는 기술의 속도, 고령화, 글로벌 연결 확대를 꼽고 있다.


거시 측면에서 미래를 보다 보면 주요 요인이 대부분 크게 다르지는 않기 때문에 트렌드 측면에서는 새로울 것이 없었는데, 앞의 요인으로 인해 이전과는 다른 소비자의 등장, 지속되는 저금리와 이의 영향, 노동구조가 양극화되며 숙련노동자는 부족해지고 비숙련노동자는 남아도는 현상, 영원한 승자가 사라진 현상 등 여러가지 미래의 변화 양상을 이야기하고,


기업과 정부가 그런 변화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잘 이야기해주고 있다.


먼저 이야기했듯이 메가트렌드 책이 완전히 새로운 것도 없지만, 몇년간의 변화를 반영하여 조금씩 내용이나 방향이 바뀌어 있고, 현상진단에 내가 보지 못했던 여러가지를 더 보기 때문에 너무 많이 보는 것이 좋지는 않겠지만 한번씩 보는 것은 사고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되는 것 같다.


그리고, 재미있는 표현이 한가지 있었는데 자율주행차가 발달하여 교통사고가 줄어들면 모두가 행복해지는 것이 아닐까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저자는 교통사고로 인한 심장 기증이 줄어드는 현상이 생길 것이고, 이 때문에 인공심장기술이 발달하는 등의 새로운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보는 것이었다. 누가 자율주행차와 인공심장을 연결하여 생각할 수 있겠나 싶으면서, 현재의 변화가 전혀 예상치 못한 분야를 바꿔버리는 일이 많이 생길 수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날짜 : 2013. 3. 11.

저자 : 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저, 이미숙 외 역

출판사 : 예문

이미지 : 예스24

정가 : 15,000원


한동안 중장기 미래에 대한 책을 많이 읽어서 그만 읽으려고 했지만, 미국 국가정보위원회에서 썼다고 해서 무엇이 다른지 궁금해서 읽어보게 되었다.


책 자체는 미국 중심의 시각에서 세계가 10~20년간 어떻게 바뀔 것인지 연구한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고 읽는 것이 나을 것 같고, 아무래도 보고서이다 보니 중간중간에 표 형태로 전체 내용을 따로 정리를 하고 있어서 일목요연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 있다.


전체적인 경향을 보면 중국의 부상이 어느 수준까지 될 것인지와 제3세계가 타국과 협력/적대 중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지에 따라 판도가 다르게 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그 가능성에 따라 크게 몇가지의 시나리오를 두고 정리하고 있다.


바로 직전에 읽은 책인 '착각의 경제학'에서 경제를 중심으로 중장기 전망을 다루고 있다 보니 그 책과도 바라보는 시각에 대해서 조금씩 비교가 되었다.


목차만 간단히 보면, 향후 발생할 메가트렌드로 개인의 권한 확대, 분산되는 권력, 변화하는 인구 패턴, 밀접해지는 식량, 물, 에너지의 관계를 보고 있고, 게임을 바꿀 요인으로 위기에 직면할 세계 경제, 거버넌스 갭, 분쟁이 증가할 가능성, 지역적인 불안정의 확대, 신기술의 영향, 미국의 역할을 꼽고 있으며, 그에 따른 미래의 4가지 가능 시나리오로 멎어버린 엔진, 융합, 램프에서 나온 지니, 비국가적인 세계를 이야기하고 있다.

날짜: 2011.11.9
저자: 김상훈&비즈트렌드 연구회 저
출판사: 한스미디어
이미지: 예스24
정가: 13,000원

책이 쓰여진 2009년 시점에서 3년 정도 이내의 기간에 발생할 마이크로 트렌드를 정리한 책이다.

경제경영, 소비, 사회, 문화, 기술 5개 영역에 각각 9가지로 총 45개의 트렌드가 있는데, 책이 쓰여진 시점에서 2년 가까이 흘러서 그런지 실생활에 이미 나타난 것도 있고, 현재 진행중인 것도 있고, 개인적으로는 아직은 맞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것도 있었다.

특히, 소비 분야에서 소비의 양극화 성향, 디지털 네이티브, 뉴 시니어 등은 참조해 볼만한 좋은 관점으로 보였다.

클래식 음악, 와인과 같은 것을 고급문화라고 지칭하는 것은 그네들의 마케팅 전략에 의해 만들어지는 문화를 고급, 저급으로 분류하는 프레임을 저자들도 알게모르게 가지게 되어 지칭하는 것 같아 그리 좋아보이지는 않았다. 차라리, 대중보다는 소수의 애호가를 대상으로 하는 문화가 대중으로 확산된 것으로 정리하는 것이 어땠을까 싶다.

앞에서는 글로컬라이제이션보다는 역혁신(reverse innovation)이 더 좋은 접근으로 이야기 되다가 몇 장 뒤에서는 글로컬라이제이션의 사례를 나열하고 있는 것은 내용이 앞뒤가 맞지 않는 것 같아 조금 어색하다는 느낌이 들기도 했다.

미래/트렌드를 주제로 책을 골랐더니 3권 연속으로 동일한 출판사의 책을 읽는 것이 좀 신기하기도 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