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 2013. 12. 25.

저자 : 이덕일 저

출판사 : 역사의아침

이미지 : 예스24

정가 : 15,000원


어쩌다보니 저자의 책을 계속해서 읽게 되었고, 그 중 특히 조선시대 임금에 대한 책을 계속 보게 되었다. 이렇게 몰아서 읽으니 이전 책(조선왕 독살사건)에서와 겹치는 부분이 조금씩 있어서 조금 편하게 읽는 장점이 있는 것 같다.


이 책에서는 27대 조선왕 중 8명을 4가지 주제로 두 명씩 정리하고 있는데, 그 주제는 악역을 자처한 임금, 신하에게 쫓겨난 임금, 전란을 겪은 임금, 절반만 성공한 임금이다.


식민사관에서는 붕당정치를 조선시대를 망하게 한 주요 요인이자 매우 나쁨 한인의 습속 정도로 본 것으로 기억하고, 이를 극복하는 측면에서 붕당정치라는 것이 현대의 정당체제와 같은 형태의 모습이라 얘기하는 것 까지 알고 있었는데,


이 책에서는 임금을 중심으로 기술되다 보니 왕보다 더 큰 권한을 가지려 하고 왕을 동등한 수준으로 보는(그렇게 보는 논리를 만들려다 보니 중국 왕이 최고이고 조선의 임금과 자신은 동등한 수준으로 보는 좀 웃기는 논리도 생겨났지만) 사대부에 대해 그리 후한 점수를 주는 분위기는 아니다. 지금의 시각에서 보면 그런 모습이 좀 더 선진체제일 수도 있겠지만.


왕이나 왕권을 둘러싸고 신하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모습들이 지금 우리나라의 상황에 투영되고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과 같은 상황이 벌어지는 것 같아 안타깝기도 했다.


그리고, 임금이나 세자를 정할때마다 중국에 사람을 보내서 허락을 받았다는 것을 듣기는 했지만, 그것을 책으로 읽으니 잠깐 짜증이 치밀어 오르기도 했다.


날짜 : 2013. 12. 19.

저자 : 이덕일 저

출판사 : 다산초당

이미지 : 예스24

정가 : 13,000원


지금은 다른 임금의 사례까지 추가하여 두 권으로 증보판이 나와 있지만 예전에 나왔던 한 권으로 된 책을 읽었다.


책을 보면서 막연하게 부정적이라고 알고 있었던 당쟁의 실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인 이해를 할 수 있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정당체제와는 조금 다른 모습이겠지만 집권당과 견제하는 당의 양당 내지는 그 이상의 당이 있어서 그들을 통해 서로 견제하며 운영되는 모습인 것이니, 어찌보면 왕권 국가이면서 더 현대적인 모습으로 국가가 통치되고 있었던 것이 아닌가 싶었다.


제목에서는 독살을 단정하고 있지만, 실제 내용을 보면 큰 이유없는 왕의 급서가 계속 있었고, 신하인 관료가 왕을 선택한다는 택군이라는 단어를 쓸만큼 왕의 존재가 우리나라에서 절대적이지 않았기에, 명분이 없는 한에는 누구에게나 드러나보이는 반정이라는 수단보다는 독살이라든가 하는 보이지 않는 방법을 쓸 것이라는 가설 하에서 책이 서술되고 있다.


지금의 대통령 만큼이나 조선시대 후기의 왕도 권력의 최정점에 있으면서 실제로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은 그리 많지 않은 오묘한 상태로 있지 않았나 싶다.


날짜 : 2013. 12. 12.

저자 : 이덕일 저

출판사 : 옥당

이미지 : 예스24

정가 : 17,500원


흔히 말하는 사서삼경에는 사서로 논어, 맹자, 대학, 중용, 삼경에는 시경, 서경, 역경이 있다.


이 중 유학의 기본이 되는 사람인 공자의 삶을 사후에 제자들이 정리한 책이 논어가 된다.


많이 잊어버려서 읽기도 자연스럽게 되지 않는 한문으로 쓰인 글이 함께하기 때문에 읽는데 시간도 생각보다 많이 걸리고, 한문 자체가 압축이 많이 되어 있어서 내용도 쉽지 않았다. (차라리 한자를 포기하고 한글 부분만 보면 더 쉽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논어만을 설명하는 책이라기 보다는 유학(이후에는 유교로 불리지만)의 시조가 되는 공자라는 한 사람의 성인의 삶을 보는 전기로도 이해될 수 있는 책이어서 읽어볼 가치는 있는 것 같다.


저자가 역사학자이기 때문에, 공자의 사상을 해석한 주자의 의견에 따른 주자학이 주류 사상이 된 조선후기의 우리네 학자, 사상가와 연결하여 한 번 더 설명하고 있어 좀 더 쉽게 이해가 되는 것 같다.


어쨌든, 논어 자체가 공자가 직접 쓴 것이 아니고, 제자들이 정리한 것이기에 저자가 이야기한 대로 보기에 따라서는 언행일치가 되지 않는 부분도 조금씩 있어 보이고, 도가나 법가와는 또다른 유가 사상이기에 상황을 어떻게 보는지에 따라 대응책이 달라지는 경우도 나오는 것 같아 책을 이해하는 기준을 잡기가 쉽지 않아 보이기도 했다.


어릴때 집에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라는 글이 집에 있었는데, 이 또한 논어에 있는 말이라 하니 알게모르게 우리의 삶에 많이 스며들어 있는 것 같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