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 2017. 4. 7.

저자 : Yuval Noah Harari 저, 조현욱 역, 이태수 감수

출판사 : 김영사

이미지 : 예스24

정가 : 22,000원


이전에 읽었던 총균쇠와 비슷한 흐름의 책이지만, 다른 시각으로 호모 사피엔스라 불리는 인류의 역사를 잘 정리한 책이다.


오랜만에 두꺼운 책을 읽게 되어 이상하게 진도가 나가지 않아 힘들기도 했지만, 몰랐던 부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과 인류사에 대한 신선한 시각 덕분에 책을 읽는 재미는 매우 쏠쏠했다.


지금 당연히 믿고 있는 언어, 국가, 민족주의, 종교 등을 사람의 상상력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고 그것을 인지혁명이라 부르는 것이 1장을 읽으면서 가장 신기하게 받아들인 것이고, 특히나 국가, 민족주의, 종교와 같은 것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는 말은 어찌보면 당연한 것이지만 한번도 그러리라 생각을 안했던 것이라 많이 신선하게 받아들여졌다.


그러면서 비슷한 시기에 있었던 네안데르탈인을 비롯한 다른 인류와 비슷한 존재들을 모두 없애버리고, 이후에는 제국주의의 확대 과정에서 다른 대륙에 살고 있는 사피엔스를 멸망 또는 거의 멸망시키는 과정이 있었다는 것이, 인류가 참으로 잔인한 존재이기도 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이 안정적으로 살기 위하여 채집생활을 그만 두고 농업을 시작하는 농업혁명이 있었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삶의 질 측면에서 더 나쁜 수준으로 바뀌었을 가능성을 이야기하는 것을 보면서 또다른 충격이 있었다. 이동을 해야 되지만 짧은 시간의 노동으로 먹고사는 데 문제가 없는 채집생활이, 한곳에 정주해 있기는 하지만 하루종일 노동을 하고 굶어죽지 않을 정도로만 사는 것으로 바뀌었다는 시각은 참으로 신선했다.


책을 마무리하면서, 행복이라는 가치에 대해 절대성과 상대성을 이야기하는데, 행복지수가 높은 나라로 이야기되는 부탄에서 지금까지 밖에서 살아온 내가 과연 행복하다고 느낄까를 생각해보면 회의적이기에 저자의 시각에 많이 공감되었다.


역사의 갈림길을 거쳐 지금까지 온 인류의 역사를 지금 보기엔 쉽게 이해되지만 그 당시에는 판단이 쉽지 않았을 것이라는 저자의 의견에 절대 동의하며, 현재와 미래를 좀 더 깊고 다루고 있을 이 책의 후속편이라 볼 수 있는 Homo Deus가 이미 해외에서는 발간되었다 하니 어떤 내용을 다루고 있을지 기대된다.


날짜 : 2014. 5. 13.

저자 : 이경선 저, 국경없는과학기술자회 기획

출판사 : 뜨인돌

이미지 : 예스24

정가 : 18,000원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라는 단어가 있다. 여러가지 관점에서 볼 수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자원봉사의 확장된 형태라고 이해를 하고 있는데, 단순한 자원봉사가 아니라 의료지식이 있는 사람이 의료봉사를 가듯이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가 있는 사람이 저개발국, 개도국 주민이 필요로 하는 것을 만들어 주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예전에 큐드럼(Q-drum)이라는 물건의 사진을 보면서, 몇km를 걸어서 물을 긷는 아프리카 주민을 위한 발상의 전환이라는 것을 들었을 때 받았던 충격처럼 이 책을 읽으면서도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런 활동을 하는 사람이 우리나라에도 많이 있다는 것을 이제야 알았다는 것이 부끄럽기도 했고, 너무 학교 중심으로만 운영되고 있다는 것이 안타깝기도 했다. (물론 해외사례로 들었던 것도 대부분 대학에서 이뤄지고 있었지만...)


빗물탱크, 비소정수기, 펌프, 바이오샌드 필터, 에코 리우, 태양열 발전, 태양열 온풍기, 태양열 조리기, 흙건축 등 상당히 많은 사례를 책을 통해 접할수 있었고, 우리가 해주고 싶을 것 보다는 현지의 주민이 실제로 원하는 것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과 1회성 일이 안되기 위한 지속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은 꽤 중요한 시사점이 아닌가 싶었다.


과학이나 공학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읽어보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싶었다.


날짜 : 2013. 3. 16.

저자 : 김병도 저

출판사 : 해냄

이미지 : 예스24

정가 : 15,000원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혁신에 있다는 것에 대하여 경제사 측면을 중심으로 한 몇가지 시각에서 이야기하는 책이다.


시카고대학에서 공부하셔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신자유주의의 시각에 가까운, 정부의 간섭은 최소화되어야 하며, 민간의 자유로운 활동의 보장이 중요, 시각을 바탕에 두고 생각이 정리되어 있다는 느낌이었다.


책 중간중간에는 그것과는 조금 거리가 있어보이는 저자의 고유한 생각도 들어 있어서, 앞의 느낌은 지식의 부족에서 오는 오해일수도 있다.


국가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보는 입장이라 저자와 바탕에 깔린 시각에서 차이가 있고, 경제사를 이해하는 시각도 차이가 있긴 하지만 저자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것은 혁신을 조장하는 측면에서 기업하기 좋은 환경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기업하기 좋은 환경이라는 명제를, 왜 해야하는가라는 것을 빼고 들여다 보면, 기업의 탐욕만을 돕는 방법들이 나오지만, 혁신을 조장하는 측면에서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면 나라가 발전하는 데 도움이 될 방법이 나올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미국 또한 신자유주의가 득세한 이후 소득격차가 심화되고 있는데(울나라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나오고 있지만), 이것을 혁신적 자본주의가 도래한 것이며 양극화는 일시적인 것이라고 간단하게 진단하는 등 앞에서 얘기한 신자유주의 시각에 가까운 접근은 조금 이해가 되지 않기도 했다.

+ Recent posts